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장단콩웰빙마루사업에 결국 횡령사건까지 터지고야 말았다.

팀장급 직원이 자그만치 8억의 거금을 횡령한 사건으로 고양이 앞에 생선을 통째로 맡긴 격이 된 것이다.

장단콩 웰빙마루 8억 횡령사건

처음에는 천연기념물 독수리 서식지로 잘못된 위치선정 때문에 논란을 빚다가 이재홍 전 시장이 뇌물수수 사건으로 구속되고 당선무효형이 확정되자 사업들이 줄줄이 좌초위기에 놓이는 상황이 되었다.

이 사건 또한 이재홍 시장 시절 대대적으로 사업을 진행하다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더니 이제 직원의 공금 횡령이 벌어지고 있었던 것도 모른 채 자금을 제맘대로 주무르고 있었던 것이다.

사건이 터지자 그제서야 파주시가 부랴부랴 감사에 착수 뒷북감사라는 비난을 받고 있는 것이다.

사건을 일으킨 H팀장은 2012년 5월에 투자유치전략 담당 업무 직원으로 파주시에 발을 들여놓았다.

그는 증권 등 금융전문가로 알려져 있다.

장단콩웰빙마루가 2017년 법인을 설립하고 당시 자본금 207억 원으로 거기에는 경기도가 90억6천만 원, 파주시가 50억, 북파주농협 15억, 광탄농협이 7억, 나머지 농협들이 5억, 민간출자 1400만 원 포함되어 대표이사 1인 비상임이사 2명, 직원 5명으로 호기롭게 출발하였다.

하지만 파주시 국장출신 대표이사가 같은해 10월 사임하자 당시 국토부출신 본부장이 대표이사로 앉아 지난해 9월까지 재직하다 최종환 시장 체제로 바뀌면서 사직, 그러다 보니 H팀장 위에 그를 컨트롤 할 사람이 없었다는 이야기다.

H팀장은 재무와 회계를 총괄하여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총 4차례에 걸쳐 공금 8억 원을 무단인출하여 대부분 주식투자에 탕진했다고 밝히고 있다.

공금횡령 막을 어떠한 시스템도 매뉴얼도 없다

이러한 사실도 현재 대표이사가 2018년10월30일 취임 이후 회사 자금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일부 자금이 회수되지 않아 H에게 자금이체를 요청했다가 뒤늦게 이같은 횡령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파주시는 인허가가 까다롭기로 유명한 시로 정평이 나있다.

그런데 정작 이처럼 한 팀장이 수백억의 자금을 마음대로 주무르면서 공금횡령을 막을 시스템이나 매뉴얼이 전무했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1년 가까이 장기간 장단콩웰빙마루 대표가 부재 중에 이루어진 사건이다.

파주시는 사전에 이를 예측하고 발빠르게 대책을 내놓거나 대응을 했어야 했다.

H팀장이 최종환 시장 재임중에도 버젓이 돈을 인출했다는 사실은 그가 얼마나 공직사회를 물로 봤으면 그랬을까 싶다. 전임 시장이 문제를 일으켜 파주시의 각종 사업이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이를 십분활용해 이런 행위를 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최종환 시장 체재로 바뀌며 조직이 새롭게 판을 짜는 사이에서도 버젓이 지속했다는 것은 공직사회가 너무나 긴장감이 떨어져 있었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일례이다.

2년동안 별로 한 것도 없이 자본금 207.7억 원 중 18.5억 원이 사업비에 쓰여지고 8억 원을 횡령할 수 있었다.

뒷북감사라는 비난도 받지만 검찰의 수사의지에 따라 횡령 부분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사람의 경력을 보면 증권전문가로 다양한 경력을 소유하고 있어 현재 주식투자 등으로 다 탕진 남은 것이 없다고 오리발을 내밀고 있으나 전문가다운 솜씨로 어딘가에 몰래 짱박아두었을지 모르는 일이다.

더구나 본인소유의 재산이 하나도 없이 철저히 한점을 볼 때 이 말이 훨씬 설득력이 있다.

이 소중한 8억을 누가 책임질 것인가, 누가 보상할 것인가. 모르긴 해도 현재 각 농협들이 조합장 선거에 몰입하느라 정신이 없지만 선거가 끝나고 나면 어려운 농협들이 거금을 투자한 조합원이 눈뜨고 가만히 있겠냐는 것이다. 파주시는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자금을 떡주무르듯 할 수 있는 이같은 허술한 관리체계를 빨리 재정비에 나서야 한다.

재발방지 위한 철저한 조사 및 대책 마련되어야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시의회도 나서서 법인의 재무 회계를 총괄하는 자가 자신의 지위와 권한을 이용해 거액의 공금을 횡령하였음에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것을 질타하여 재발 방지 및 개선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또 조인연 시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시가 뒤늦게 감사에 착수했지만 일각에서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격'이라고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현재의 파주시 행정조직 시스템으로도 이러한 후진적 횡령과 비리사건을 대응할 수 없어 이 사건과 관련한 행정적 책임규명을 위한 의회 특별조사위원회를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는 결국 공직기강이 문제인 사건이다. 시민의 혈세로 먹고사는 공직자들이 느슨한 공직사회의 틈을 타고 유혹의 손을 뿌리치지 못했다는 것도 공직자의 기본적인 자세에서부터 빚어진 사안이다.

파주시장을 비롯한 감사 부서에서도 확실한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

우리나라의 부패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s Index)는 OECD 36개국 중 30위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현주소에서도 이번 사건을 그대로 읽을 수 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청렴은 세상에서 가장 이익이 많은 장사"라고 청렴의 가치를 크게 평가했다.

청렴이 경쟁력이라는 것이다. 무엇을 하든 그대로 파주사회에서는 공직자의 언행이 귀감이 되어야 한다.

가장 깨끗해야 할 조직속에서 이런 일이 터진 것은 문제가 심각하다.

일벌백계로 다스려 이러한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철저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공직사회 기강이 해이해지면 그 타격은 그대로 시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다.

고삐를 다시 쥐고 기본에 철저한 자세로 공직기강을 바로 잡아야 하는 것이 가장 큰 과제이다.

저작권자 © 파주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